CPU 순위 기업

2020. 8. 9. 23:23카테고리 없음

2020년 6월 CPU 성능순위 상위권

순위

CPU 모델

점수

1 AMD Ryzen Threadripper 3990X 81,037 

2 AMD EPYC 7702 71,362 

3 AMD EPYC 7742 66,679 

4 AMD EPYC 7702P 63,910 

5 AMD Ryzen Threadripper 3970X 63,008 

6 AMD Ryzen Threadripper 3960X 55,862 

7 AMD EPYC 7452 53,075 

8 AMD EPYC 7502P 48,724 

9 AMD Ryzen 9 3950X 39,326 

10 Intel Xeon W-3275M @ 2.50GHz 38,961 

11 AMD EPYC 7302P 38,825 

12 Intel Xeon Gold 6248R @ 3.00GHz 38,521 

13 AMD EPYC 7402P 35,435 

14 Intel Core i9-10980XE @ 3.00GHz 34,463 

15 Intel Xeon W-3265 @ 2.70GHz 33,503 

16 Intel Xeon Platinum 8268 @ 2.90GHz 33,501 

17 Intel Xeon W-3175X @ 3.10GHz 33,351 

18 AMD Ryzen 9 3900X 32,813 

19 AMD Ryzen 9 PRO 3900 32,008 

20 Intel Xeon W-2295 @ 3.00GHz 31,724

출처: https://090501.tistory.com/748 [느긋한 일상]

 

인텔은 반도체의 설계와 제조를 하는 미국의 다국적 기업이다. 세계에서 가장 큰 반도체 제조사로 본사는 캘리포니아 주 산타클라라에 있으며 반도체 제조 공장은 캘리포니아 주 새너제이에 있다. 

 

차세대 반도체서 주저앉은 인텔, AMD에 주가 역전당해

7나노 CPU 생산 일정 또 연기… ‘만년 2인자’ AMD 작년 7나노 출시로 인텔 시장 잠식 가속

인텔이 7나노(nm) 중앙처리장치(CPU) 생산 일정을 또 다시 미뤘다. 경쟁사 AMD는 이미 7나노 제품을 내놓고 있지만, 인텔은 초미세공정에서 뒤쳐지는 모습이다. 선단 공정 경쟁에서 밀리며 몇년전까지만 해도 공고하던 인텔 시장 점유율은 날로 줄어들고 있다.

지난 23일(현지 시각) 인텔은 2분기 매출 197억달러, 주당순이익 1.19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 늘었고, 시장 예상치(컨센서스)인 186억달러를 상회한다. 주당순이익 또한 작년 2분기 0.92달러보다 높고, 시장 예상치 1.11달러를 넘어섰다.

실적은 개선됐지만, 이날 인텔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10.6% 폭락해 54달러를 기록했다. 앞서 정규장에서 주가는 1.06% 하락한 60.40달러에 마감했었다. 이날 폭락으로 인텔 주가는 15년만에 경쟁사 AMD에 역전됐다. AMD는 주가는 23일 기준 주당 63.25달러였다.

인텔이 컨퍼런스콜에서 밝힌 7나노 제품 생산 시기가 문제였다. 인텔은 컨퍼런스콜에서 "수율이 목표 수준에 미치지 못해 7나노 제품 출시가 당초 계획보다 6개월가량 지연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인텔은 이미 수차례 7나노 제품 생산 시기를 미룬 바 있다. 양산이 6개월 지연된다면 인텔 7나노 CPU 출시 시점은 PC용이 일러야 2022년 하반기, 서버용은 2023년 하반기가 된다. 최초 계획보다 1년여가 늦어지는 셈이다.

인텔은 2018년 하반기부터 14나노 제품군 공급난을 겪고 있다. 2018년으로 예정했던 10나노 진입이 늦춰지며 14나노 제품군이 늘어나고, 결국 14나노 생산라인이 부족해진 것이다. 인텔은 공급난 해결을 위해 CPU를 제외한 14나노 반도체 제품군을 삼성전자·TSMC 등 타 파운드리(위탁생산)에 맡기기도 했다. 인텔은 지난해말 노트북용 CPU로 첫 10나노 제품군을 선보였지만, 데스크톱과 서버용 프로세서는 여전히 14나노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인텔은 반도체를 설계하고 생산까지 도맡는 종합반도체기업(IDM)이다. 현재 10나노 이하 반도체를 안정적으로 양산하는 업체는 TSMC와 삼성전자 둘 뿐이다. 자체 물량만 생산하는 인텔이 선단공정 경쟁에서 TSMC와 삼성전자에 밀리며 CPU 생산에까지 타격을 입게 된 모습이다.

 

인텔이 타격을 입은 사이 CPU 시장에서 ‘만년 2인자’던 AMD는 질주하고 있다. AMD는 2017년 14나노 CPU를 내놨고, 2019년엔 7나노 CPU를 선보였다. AMD가 인텔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게 된 계기가 됐다. AMD는 인텔과 달리 반도체 설계만 하는 팹리스(fabless) 기업으로, CPU 생산을 전량 TSMC에 맡기고 있다. TSMC 기술을 빌려 선단 공정에 빠르게 진입한 것이다.

패스마크(Passmark)에 따르면, 2017년 1분기 23.4%에 불과하던 AMD 데스크톱 CPU 점유율은 2020년 2분기엔 46.8%로 인텔의 턱밑까지 올라왔다. 모바일(노트북) 시장에서 2018년 8.1%로 최저치를 기록했던 AMD 점유율은 올 2분기엔 13.9%로 뛰어올랐다.

인텔은 보수성이 강한 서버용 CPU 시장에선 여전히 95%가량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지만, 공정 차이가 벌어진다면 이 또한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반도체 업계 한 관계자는 "인텔은 EUV(극자외선) 공정을 사용해, 10나노라도 AMD의 ArF(불화아르곤) 공정 7나노와 유사한 성능을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면서도 "7나노 돌입이 2023년에야 가능하다면 AMD는 5나노 이하 공정 제품을 내고 있을 때"라고 지적했다. 한번 벌어진 ‘공정격차’를 좁히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25/2020072501614.html

 

차세대 반도체서 주저앉은 인텔, AMD에 주가 역전당해

7나노 CPU 생산 일정 또 연기… ‘만년 2인자’ AMD 작년 7나노 출시로 인텔 시장 잠식 가속인텔이 7나노(nm) 중앙처리장치(CPU) 생..

biz.chosun.com

삼성, CPU 개발 중단···20조 들인 美오스틴센터 290명 해고
2019년 11월